[이광식의 천문학+]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삼국시대 우리 천문학’
송현서 기자
업데이트 2021 11 19 14:26
입력 2021 11 19 14:26
서양 별자리 못지않게 동양 별자리의 역사도 유구하다. 중국과 인도 등 동양의 고대 별자리는 서양 것과는 족보부터가 다르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적도를 12등분하여 12차(次) 또는 12궁(宮)이라 하고, 적도 부근에 28개의 별자리를 만들어 28수(宿)라 했다. 이러한 중국의 별자리들은 그 크기가 서양 것보다 대체로 작다. 서기 3세기경 진탁(陳卓)이 만든 성도에는 283궁(궁이란 별자리를 뜻한다), 1464개의 별이 실려 있었다고 한다.
한국의 옛 별자리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지만, 삼국시대 우리나라의 천문학 수준은 일식을 예견하는 등 세계 최고의 수준이었다. 당시 천문학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있다.
고구려 시대 평양에서 각석한 천문도(평양성도星圖) 비석의 탁본을 바탕으로 돌에 새긴 천문도인 이 하늘지도는 형태는, 별자리 그림을 중심으로 주변에 해·달·사방신에 대한 간략한 설명, 주관하는 각도, 각 절기별 해가 뜨고 질 때 남중하는 별자리가 설명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당시의 우주관, 정밀하게 측정된 28수의 각도, 천문도의 내력, 참여한 관리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별자리 그림은 큰 원 안에 하늘의 적도와 황도를 나타내는 교차하는 중간 원을 그리고, 그 내부에 계절에 상관 없이 항상 보이는 별들을 표시하는 중앙의 작은 원, 그 위에 각 분야별로 1467개의 별들이 293개의 별자리를 이루어 밝기에 따라 다른 크기로 정교하게 그려져 있다. 별자리의 수는 서양의 88개와 비교하면 3배가 넘는다.
그 위에 은하수가 그 모양대로 그려져 있으며, 큰 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365개의 주천도수 눈금, 각 방향을 대표하는 12지, 각 땅을 대표하는 분야(分野), 황도 12궁이 표시되어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삼국시대에 세계 최고의 우리 천문학 수준을 대표하는 유물로서 우리가 쓰는 만원권 지폐에도 어엿이 올라 있다. 2007년 1월에 발행된 만원권 뒷면 배경에 혼천시계, 보현산 천문대 망원경과 함께 약식으로 모사한 천상열차분야지도가 그것이다. 하지만 지폐에 묘사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원본과 비교했을 때 오류가 많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