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만한 사이즈”···다이빙 선수들 수영복은 왜 갈수록 작아지나?
송현서 기자
업데이트 2024 08 09 14:40
입력 2024 08 09 14:40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에서 다이빙 종목에 출전한 프랑스의 쥘 부이에 선수는 신체와 완벽하게 밀착되는 스킨-타이드(skin-tight)한 수영복을 입고 경기장에 나와 눈길을 사로잡았다.
부이에는 2022년 로마에서 열린 다이빙 스프링보드 경기에서도 역시 ‘손바닥만한’데다 완전히 밀착된 수영복을 입고 등장한 바 있다.
미국 연예매체 TMZ에 따르면 그는 작은 수영복으로 드러난 완벽한 체형으로 찬사를 받았고, 미국의 한 속옷회사는 “그에게 평생 속옷을 협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독 ‘작은 유니폼’을 선호하는 일부 수영선수들과 관련해 데일리는 “‘모든 것’이 제자리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부상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수영복이 작아야 한다”면서 실용적인 목적이 있음을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작고 꽉 끼는 수영복을 입은 남성 선수들이 성적 대상화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의 또 다른 다이빙 선수 블레이크 알드리지는 “선수들은 무엇을 입든 대중의 시선을 받는다”면서 “올림픽은 모든 체형의 선수들을 위한 자리다. 올림픽에는 모든 체형과 사이즈가 존재한다. 크고, 작고, 뚱뚱하고, 날씬한 몸을 가진 모든 선수가 자신의 일을 훌륭하게 해낼 수 있는 자리가 올림픽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학을 품은 수영복의 진화다이빙 등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수십 분의 1초가 승패를 가르는 수영에서 수영복은 단순한 유니폼의 기능을 넘어 기록 향상을 위한 ‘무기’로 진화했다.
특히 공기보다 밀도가 700배 정도 높고 점성도 55배 높은 물속에서 조금이라도 빠르게 헤엄치기기 위해서는 저항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에 선수용 수영복을 만드는 회사들은 과학기술을 접목한 수영복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레이저 레이서는 나일론과 라이크라 섬유에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우레탄 혼합물을 섞어서 만든 것으로, 부력을 높이고 수영복을 더 매끄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었다. 폴리우레탄이 섞인 수영복은 기존 수영복보다 저항을 8%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각에서 오로지 ‘인력’으로 기록을 내야하는 수영 종목에서 과도한 기술이 접목된 수영복을 착용하는 게 ‘기술 도핑’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세계수영연맹은 2010년 전신 수영복 및 폴리우레탄이 사용된 수영복의 사용을 금지했다.
이후 전신 수영복의 시대가 끝났고, 수영복은 다시 이전처럼 물의 저항을 줄이고 안전을 더욱 고려한 작은 크기로 변화했다.
예컨대 수영복 회사인 미즈노 및 아레나는 수영복의 주요 부위에 더 많은 압축력을 부여해서 선수의 근육을 잡아주고, 물에서 더 높은 부력을 갖도록 했다. 선수용 수영복은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신체를 압박하도록 만들어졌다. 탄력이 한계에 다다를 때까지 몸에 수영복이 완전히 붙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스피도 경쟁사인 티어는 이번 파리올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에게 ‘티어 벤조’라는 새로운 수영복을 제공했다. 티어는 수영복의 마찰을 줄이고, 다리의 이음새 부분을 개선해서 선수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난달 26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수영선수들이 수영장 물 안에서 소변을 보는 행위가 일반적이라는 보도를 내보냈다. 선수용 수영복을 입고 벗는 것이 매우 힘든 일이라는 것을 아닌 선수들은 이 같은 행위를 서로 알고 양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수영장 물에는 염소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어 소변으로 인한 위생 문제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