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상궂은 인상을 지닌 사내의 반전 이력 [으른들의 미술사]
업데이트 2023 06 22 09:24
입력 2023 06 21 10:58
40년 전 히긴슨은 남북전쟁 당시 연합군을 이끈 장교였다. 그는 남북전쟁에서 복무한 후 퇴역한 군인으로 낡은 담요를 덮고 낡은 구두를 신고 있다.
그는 이제 더 이상 장교도 군인도 아니다. 70대로 들어선 그가 무릎 담요를 덮은 것으로 보아 그의 무릎 상태는 건강해 보이지 않는다. 70대의 퇴역 군인, 낡은 구두와 담요의 공통점은 그 쓸모를 다 했다는 점이다. 과거의 망령을 붙잡듯 무심히 앞을 바라보고 있는 이 늙은 사내의 삶은 어땠을까?
퇴역 군인 히긴슨의 이력은 독특하다. 1834년 뉴욕에서 태어난 그는 하버드에서 공부했으나 다 마치지 못하고 1856년 비엔나에서 1년 동안 음악을 공부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3년간 남북전쟁에 복무했으며 1864년 심각한 부상으로 제대했다. 특히 그는 오른편 얼굴에 칼자국이 선명한 부상을 당했다. 그는 이 부상으로 소령에서 중령으로 명예 진급했다.
전쟁터에서 오케스트라 무대로그는 퇴역한 후 보스턴으로 돌아와 금융 사업을 했다. 금융업으로 크게 성공한 히긴슨은 1881년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립했다. 그는 미국의 문화 수준이 유럽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다는 자각에서 유럽 출신의 전문 음악인들을 불러 모았다.
그는 게오르크 헨셸, 카를 무크와 같은 최고 수준의 지휘자를 고용했다.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처음 한 두 해를 제외하고 그가 사망할 때까지 매년 적자를 면치 못했다. 사람들은 그의 무모한 활동을 비웃었다.
미국은 아직 클래식 음악을 제대로 즐길 줄 모르는 척박한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그가 오케스트라를 창립하면서 내건 목표 중 하나는 대중들이 부담 없는 금액으로 최고 수준의 오케스트라를 즐기는 것이었다.
다시 전쟁터에서 희생당한 사람에게로그의 자선활동은 이에 그치지 않고 남북전쟁에서 희생당한 어린 병사들을 추모하는 공간을 제안했다. 히긴슨은 같은 동포끼리 총과 칼을 겨눈 아픈 기억을 헛되게 하고 싶지 않았다.
1890년 히긴슨 소령은 하버드 스타디움(현재 바커 센터) 건립을 하버드에 제안했다. 또한 9년 후 그는 하버드 유니온 건립을 위해 하버드에 15만 달러를 쾌척했다.
훈장같은 상처하버드 대학은 하버드 병사들의 안식처 건립기금을 기부한 히긴슨을 기리기 위해 사전트에게 초상화를 의뢰했다. 이 그림은 남북전쟁이 끝나고 40여 년이 흘러 그린 그림이다. 전쟁 후 40여 년이 흐르자 남북전쟁의 영웅을 기억하는 이도 드물고 남북전쟁 자체에 대한 기억도 가물가물했다.
퇴역한 군인은 자기가 사용했던 40년 전 구두와 담요처럼 비록 자신의 몸이 쇠락했지만 자신의 군인 정신만큼은 아직도 살아있음을 담담히 내보이고 있다. 감추고 싶은 상처를 굳이 드러낸 것은 히긴슨의 의지였다.
히긴슨은 이 상처를 훈장처럼 여겼다. 그는 85세에 수술 집행 도중 허망하게 사망했다. 비록 히긴슨의 육신은 사라졌어도 남을 위하는 그의 정신은 하버드 교정 위에,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무대 위에 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