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보다] 통가 화산 폭발 전후 비교… “’코로나 쓰나미’는 막아야”
송현서 기자
업데이트 2022 01 18 11:26
입력 2022 01 18 11:26
지난해 12월 8일 촬영된 사진은 이번에 폭발한 훙가 하파이 해저화산의 분화구를 선명하게 담고 있지만, 분화 이후인 지난 16일 사진에서는 분화구의 모습을 찾을 수 없다. 화산 폭발 당시 분화구가 완전히 무너져 내렸기 때문이다.
통가 수도의 모습도 해저화산 분화 이전과 이후가 극명하게 달라졌다. 지난해 2월 7일 촬영한 통가 수도 누쿠알로파는 푸른 나무와 주택가가 어우러진 평범한 해안 도시의 모습이지만, 16일에는 쓰나미에 휩쓸려 형태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된 도시로 완전히 뒤바뀌어 있었다.
해저화산 폭발로 해저 통신케이블이 절단되면서, 현재 여러 섬의 통신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 탓에 정확한 피해 규모조차 파악되지 않는 상황에서, 조난 신고가 포착됐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유엔은 통가타푸섬 북쪽의 하파이 군도에서 조난신호가 포착됐다고 밝혔다. 하파이 군도 쪽에는 69명이 거주하는 포노이섬과 36명이 거주하는 망고섬 등이 있다. 현지에 파견된 구조대는 조난신호를 포착하긴 했지만, 신호를 보낸 조난자를 직접 확인하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제적십자는 구호조직을 가동해 구호 활동에 나섰다. 알렉산더 마테우 적십자 아시아태평양국장은 화산재로 오염된 식수 정화와 피난 쉼터 제공, 흩어진 가족 찾기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통신이 복구되지 않은 탓에 구호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데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드는 구호품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작은 섬나라인 통가는 전 세계에서 얼마 남지 않은 코로나19 청정국으로 불려왔다.
호주 주재 통가 대사관 관계자는 “우리는 ‘다른 파도’. 즉 코로나19 쓰나미가 몰려오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모든 구호품은 검역을 거쳐야 하고 외국 인력은 항공기에서 내리는 게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