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간만 빼먹는 범고래에 ‘덜덜’…고향서 도망친 백상아리떼
박종익 기자
업데이트 2022 07 04 11:24
입력 2022 07 04 10:53

남아공 해변에서 발견된 백상아리의 사체
케이프타운에서 약 100㎞ 떨어진 간스바이 해역에 위치한 다이어 섬은 백상아리로 유명한 세계적인 상어 관광지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백상아리가 몰려있는 덕분에 이를 보기위해 전세계에서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것. 그러나 지난 2017년부터 이 지역 해안에서 백상아리가 사체로 발견되는 일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부터 2020년 사이 총 8마리의 백상아리 사체가 해변으로 밀려왔으며 이중 7마리는 간을 집중적으로 적출당한 상태였다.

연구를 이끈 앨리슨 타우너는 "해당 해역에 범고래가 나타난 시기와 백상아리 숫자의 감소가 정확히 일치한다"면서 "이는 세렝게티에서 사자가 늘어날 때 들개들이 대처하는 것과 똑같은 대규모 회피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백상아리와 범고래의 모습
한편 범고래는 특유의 외모 때문에 인기가 높지만 사실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는 최상위 포식자다. 사나운 백상아리를 두 동강 낼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어 영어권 이름은 '킬러 고래'(Killer Whale)로 지능도 매우 높다. 범고래가 상어의 간 등 특정 부위만 잘라 먹는 이유는 상어 간에 있는 기름인 스쿠알렌을 먹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