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0년 전에도 뇌수술을…머리에 구멍난 유골 발견 [와우! 과학]
박종익 기자
업데이트 2023 02 27 17:00
입력 2023 02 27 17:00

이스라엘에서 발견된 3500년 전 유골에서 뇌수술의 흔적이 확인됐다.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두개골천공술(trephination)을 받은 이 유골의 주인은 기원전 1550~1450년 사이 부유한 지역의 한 집 밑에서 발견됐다. 당시 나이는 21~46세로 추정되며 이같은 수술을 받은 직후 치유되지 않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이 유골 옆에는 10대~20대 초반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동생도 함께 발굴됐다. 연구팀은 당시 이 형제는 부유한 도시였던 이 지역의 엘리트 출신이거나 왕족일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팀은 특히 형제가 생전 오랜 시간 질병을 앓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수습된 뼈를 분석한 결과 한센병이나 결핵 혹은 유전병을 앓고있었다는 점이 확인된 것. 또 뇌수술을 받은 남성의 경우 어금니가 하나 더 있고 비정형 안면구조나 다운증후군 같은 유전적 장애를 가졌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뇌수술의 흔적이 확인된 유골의 모습
실제 무려 5000년 전 부터 고대 의사들은 두개골천공술을 시도했는데 치료 또는 주술의 목적으로 행해졌다. 고대 뇌수술의 주된 목적은 심한 두통을 완화하거나 혈종을 치료하고, 두개골 손상이나 간질 등을 극복하는 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