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니 눈이 3개? 삼엽충의 놀라운 비밀 [핵잼 사이언스]
업데이트 2023 03 27 13:49
입력 2023 03 27 13:49
절지동물에 속하는 삼엽충은 현재의 곤충처럼 여러 개의 작은 눈이 모여 만든 겹눈 구조를 지니고 있다. 지금 보면 단순한 구조 같지만, 고생대에는 인간처럼 복잡하고 뛰어난 눈을 지닌 생물이 없었기 때문에 이 정도면 눈이 가장 좋은 편에 속했다. 두 개의 뛰어난 눈 덕분에 삼엽충은 천적을 쉽게 피하고 먹이를 잘 찾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사실 삼엽충의 눈은 두 개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현생 절지동물은 사물을 보는 겹눈 이외에도 빛을 감지하는 세 번째 눈인 홑눈(Ocelli)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홑눈은 머리 위에 있는 작은 점 같은 감각기관으로 껍데기의 일부 투명한 부분을 통해 빛을 감지하는 컵 모양의 세포 덩어리에 불과하다. 따라서 화석이 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그 흔적이 사라진다. 그렇게 많은 삼엽충 화석에서 잘 확인하기 어려운 것도 의외의 결과는 아닌 셈이다.
하지만 독일 쾰른 대학 연구팀은 많은 화석을 분석한 끝에 두 삼엽충의 화석에서 홑눈의 흔적으로 의심되는 작은 점들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오르도비스기에서 데본기 사이 존재했던 삼엽충인 '아우라코프레우라 코닌크키'(Aulacopleura koninckii)와 거의 5억 년 전 살았던 삼엽충인 '사이클로피제 시빌라'(Cyclopyge sibilla)의 화석에서 홑눈의 흔적을 확인했다. (사진에서 화살표)
이 홑눈 흔적들은 예상한 대로 양 눈 사이 머리 위에 있었는데, 이런 위치 때문에 '가운데 눈'(median eye)라고도 불린다. 작은 점 하나만으로는 화석화 과정이나 살면서 생긴 작은 흉터와 구분하기 힘들지만, 연구팀이 화석에서 확인한 점들은 현생 절지동물의 홑눈과 비슷하게 눈 사이 머리 위에 세 개의 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우연히 생긴 흉터나 화석화 과정에서 결손 부위라고 보기에는 구조와 배치가 절지동물의 홑눈과 너무 유사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삼엽충의 홑눈은 이들이 절지동물에서 갑각류 및 곤충류와 가장 가까운 그룹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들의 홑눈이 모두 3개이기 때문이다. 거미의 경우 2개이고 원시적인 멸종 절지동물은 4개인 점을 생각하면 진화 계통상 삼엽충이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 알 수 있다. 우연의 일치이지만, 삼엽충이라는 이름 답게 세 번째 눈도 세 개라는 사실도 재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