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호주 나무 위에는 거대한 ‘이 동물’이 살았다 [핵잼 사이언스]
업데이트 2023 06 16 08:53
입력 2023 06 16 08:53
하지만 모든 캥거루가 지상을 뛰어다니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붉은 캥거루 같은 대형종보다 작은 나무타기 캥거루 속(tree kangaroo, Dendrolagus)의 캥거루들은 나무위에서 조용히 살아간다. 나무타기 캥거루는 호주 퀸즐랜드 북부에 두 종, 뉴기니에 8종이 있는데 모두 탁 트인 초원이 아니라 숲 속에 살고 있어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그런데 고대 호주에는 지금보다 훨씬 다양하고 특이한 캥거루가 살았다. 너무 커서 뛰어다니지 못하는 대형 캥거루나 사람과 비슷한 크기인데 나무에서 사는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 (giant tree-kangaroo)가 그런 사례다. 호주 과학자들은 보흐라 (Bohra) 속의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가 초원에서 다시 나무로 올라갈 수 있었던 비결을 연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000만 년 전 호주 대륙이 건조해지면서 캥거루의 조상은 먼 거리를 효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금처럼 뛰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350~500만 년 사이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호주는 다시 강수량이 늘어 이전보다 큰 나무들이 많아졌다.
보흐라 속의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는 이런 환경에서 다시 먹이가 풍부한 나무 위로 올라갔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캥거루의 발이 본래 조상인 주머니 쥐와 비슷한 형태로 역진화했기 때문이다.
고생물학자 가빈 프리데우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호주 중남부의 눌라버 평원에서 20-40만 년 전 살았던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의 화석을 발굴했다.
연구팀은 잘 보존된 발 화석을 분석해 50kg가 넘는 거구를 나뭇가지 위에서 안정적으로 지탱한 비결이 조상인 주머니쥐와 비슷하게 변한 골격 구조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발 덕분에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는 주머니에 새끼를 넣고도 나뭇가지 위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었다.
사실 진화 과정에서 없어진 부분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형태를 다시 바꾸는 일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육상 사지동물의 다리는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변화한 것이다. 그런데 육지 동물이 바다로 다시 들어갈 때마다 다리는 다시 지느러미 같은 형태로 변했다. 중생대의 어룡, 수장룡, 모사사우루스와 현재의 고래나 물개가 대표적인 사례다. 나무타기 캥거루 역시 비슷한 사례로 생각된다.
다시 호주의 기후가 건조해지면서 자이언트 나무타기 캥거루와 그보다 더 큰 고대 캥거루들은 자취를 감췄다. 남아 있던 다른 대형 유대류와 파충류, 조류 가운데 상당수는 인류의 호주 상륙 이후 대부분 멸종됐다.
현재 우리가 보는 캥거루와 코알라는 호주 고유 생태계의 소수 생존자다. 지금 남은 귀중한 생존자라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