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의 방랑자’···16만년 만에 돌아온 혜성 정체
박종익 기자
입력 2025 01 14 17:29
수정 2025 01 14 17:29
금성만큼이나 밝게 빛나는 혜성이 무려 16만 년 만에 우리 곁으로 다가왔다. 영국 BBC 등 외신은 13일(이하 현지시간) ‘혜성 C/2024 G3‘(Atlas·이하 C/2024 G3)이 이날 근일점에 접근했다고 보도했다. 근일점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C/2024 G3은 이날 태양으로부터 약 1350만㎞ 거리까지 접근했다.
C/2024 G3은 지난해 4월 5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지원하는 ATLAS(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망원경 프로젝트를 통해 처음 발견됐다. 당시만해도 C/2024 G3은 지구에서 약 6억 5500㎞ 거리였으며 이때는 극히 희미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금성만큼이나 밝게 빛날 것으로 추정되지만, 혜성의 특성상 가시성과 밝기는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우리에게는 아쉽게도 지구 북반구보다 남반구에서 육안 관측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C/2024 G3의 화려한 모습은 지상에서도 우주에서도 전문가의 솜씨로 포착됐다. 지난 11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는 지구를 배경으로 특유의 꼬리를 길게 늘어뜨리며 이동하는 C/2024 G3의 모습을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에 공개했다. ISS에서 관측한 혜성의 모습이 인상적인 이 사진을 공유하며 그는 ’궤도에서 혜성을 보는 것은 정말 놀랍다‘고 적었다.
한편 C/2024 G3은 무려 16만 년 만에 태양계 끝자락인 오르트 구름에서 찾아온 손님이다. 장주기 혜성의 고향인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싸고 있는 가상의 천체집단이다. 거대한 둥근 공처럼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으며 수천억 개를 헤아리는 혜성의 핵들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계의 방랑자’로 불리는 혜성은 타원 혹은 포물선 궤도로 정기적으로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천체를 말한다. 소행성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행성이 바위(돌) 등으로 구성된 것과는 달리 혜성은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혜성이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면 내부 성분이 녹으면서 녹색빛 등의 아름다운 꼬리를 남긴다.
박종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