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인격 의심스러워” “문재인은 교활”…北 신랄한 신년사[핫이슈]

왼쪽 윤석열 대통령, 오른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자료사진
왼쪽 윤석열 대통령, 오른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자료사진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신년 담화문을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거론하며 대한민국 정부를 비꼬거나 비난하는 내용이었다.

3일 김 부부장은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보내는 신년 메시지’라는 제하의 담화문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언급하며 “그는 참 영특하고 교활한 사람이었다”면서 “어리숙한 체하고 우리(북한)에게 달라붙어 평화 보따리를 내밀며 우리의 손을 메어놓고는 돌아앉아 제가 챙길 것은 다 챙겼다”고 회고했다.

이어 “우리와 마주 앉아 특유의 어눌한 어투로 ‘한 핏줄’, ‘평화’, ‘공동 번영’을 언급하며 살점이라도 베어줄 듯 간을 녹여내는 솜씨가 여간이 아니었다”면서도 “돌이켜보면 참으로 다루기 까다로운 상대였고, 진짜 안보를 챙길 줄 아는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조선중앙통신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조선중앙통신
반면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김 부부장은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원천봉쇄하겠다는 등의 발언으로 가뜩이나 어수선한 제 집안에 ‘북한 미사일 공포증’을 확산시키느라 새해 벽두부터 여념이 없다”면서 “지금 조선반도의 안보 형세가 당장 전쟁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매우 위태롭게 되고, 안보 불안이 대한민국의 일상사가 된 것은 전적으로 윤 대통령의 공로”라고 비꼬았다.

또 윤 대통령을 향해 ‘사유 능력과 인격이 매우 의심스러운 인물’이라고 지칭하며 “안보를 통째로 말아먹은 윤 대통령에 대한 비난이 그쪽 세상에서는 장차 더해질 것이 뻔하지만, 우리에게는 군사력을 키우는 데 단단히 공헌한 특등 공신”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나는 새해에도 대한민국의 윤 대통령이 우리 국가의 군사적 강세의 비약적 상승을 위해 계속 특색있는 기여를 하겠다는 것에 쌍수를 들어 크게 환영하는 바”라고 말했다.

2024년 북한이 갈 길은?북한은 지난해 말 코로나19 봉쇄로 장기간 굳게 닫았던 국경의 문을 열고 동맹국들과 다시 교류를 시작했다. 올해는 북한이 자국의 ‘유일한 편’이나 다름없는 중국‧러시아와의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6월20일 평양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2019년 6월20일 평양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새해를 맞아 교환한 축전에서 중국과 수교 75주년인 2024년을 ‘조중 친선의 해’로 삼고 쌍방 관계를 강화할 의향을 전달했다.

시 주석 역시 정통적인 중북 친선협력을 수호하고, 공고히 발전시키는 것이 쌍방의 확고부동한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와의 관계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다소 유리한 패’를 손에 쥐고 2024년의 초반을 보낼 가능성이 크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을 이어가는 러시아는 예상보다 길어진 전쟁 탓에 포탄 등 군수물자 부족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북한에 손을 내밀었다.

북한은 러시아가 추진하는 대로 자국 내 포탄 일부를 러시아에 제공했고, 북한은 러시아가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데 필요한 존재 중 하나로 부상하면서 일시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었다.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나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의 대면은 2019년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2023.9.13 크렘린궁 텔레그램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나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의 대면은 2019년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2023.9.13 크렘린궁 텔레그램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재 우크라이나가 서방의 군사‧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한다면 올해 안에 러시아에 패배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는 상황에서, 전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든다면 러시아가 더는 북한의 포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북한은 이에 대비해 2024년 하반기가 되기 전까지 북중 무역 거래 확대 등 ‘또 다른 패’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오는 11월 열리는 미국 대통령 선거도 북한에게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는 건 사실이나, 미국은 당장 중동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상당한 전력을 쏟아부어야 하는 만큼 북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국가정보원은 지난달 28일 “내년도 북한이 우리 주요 정치일정 등을 앞두고 연초 군사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과거 북한의 행태와 최근 북한의 대남위협 발언 수위 등을 고려할 때 연초 북한의 도발이 예상되는 만큼 유관부처와 함께 조기경보 및 대비태세 확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