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국방부 “北위성? 그냥 돌고만 있다” vs 전문가 “아직 살아있다”…진실은? [핫이슈]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성공적으로 발산된 뒤 함박웃음을 감추지 않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성공적으로 발산된 뒤 함박웃음을 감추지 않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발사한 첫 정찰위성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로이터 통신의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교 소속의 위성 전문가인 마르코 랑브룩 박사는 미국 우주사령부연합우주작전센터((CSpOC)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북한의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이달 19~21일, 근지점을 488㎞에서 497㎞로 높이는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지점은 지구 둘레를 도는 위성이 궤도상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점을 말한다.
조선중앙통신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보도했다.2023.11.22
조선중앙통신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보도했다.2023.11.22
랑브룩 박사는 “만리경-1호의 근지점 이동이 곧 해당 정찰위성이 ‘살아있음’을 의미한다”면서 “이 움직임은 만리경-1호가 죽지(dead) 않았으며, 북한이 이 위성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북한은 주변국의 반대에도 무릅쓰고 첫 정찰위성인 만리경-1호를 발사해 궤도에 올렸다. 이후 북한은 국영매체를 통해 정찰위성을 이용해 태평양 괌 상공의 미군기지, 미국 본토의 백악관 및 펜타곤(국방부) 등을 촬영했다고 주장했으나 그 결과물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만리경-1호, 정상적 임무 수행 하지 않고 있어”우리 군은 만리경-1호가 정상적인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평가해 왔다.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26일 기자간담회에서 ‘만리경-1호가 실제로 촬영해서 지상으로 전송할 능력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궤도를 돌고 있으나 일을 하는 징후는 없다. 일 없이 돌고 있다”고 답했다.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지난 1월 8일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임무수행에 매진하는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국방부 대변인실 공보과 제공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지난 1월 8일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임무수행에 매진하는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국방부 대변인실 공보과 제공
이어 “위성을 올리면 통신위성은 통신을 하고, 정찰위성은 전자광학(EO)·적외선(IR)이나 합성개구레이더(SAR) 같은 (장비를 활용해 정찰임무를 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그런데 만리경-1호는) 정찰도 하지 않고 지상과 통신 중계도 하지 않는데, 그냥 돌고는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위성이 현재 위치 신호를 발신하고는 있지만, 본래의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고 볼만한 전파 신호는 파악하지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러나 랑브룩 박사는 신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위성이 영상을 성공적으로 촬영했는지는 현재로서 확신할 수 없다. 그러나 적어도 궤도상 움직임은 수행하고 있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위성이 가동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이) 위성 궤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건 중대한 일”이라면서 “이러한 능력은 만리경-1호에 연로가 남아있는 한, 북한이 궤도를 조정해 위성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투석기로 위성 날립네까?” 북한의 항변앞서 북한이 지난해 11월 정찰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히자, 주요7개국(G7)은 일제히 비난의 목소리를 냈다.

지난해 11월 22일 일본 외무성이 배포한 공동 성명에 따르면 주요 G7 외교장관들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발사를 가장 강력한 말로 비난한다”면서 “지역 안팎의 평화와 안정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록 군사정찰 위성이라고 해도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덧붙였다.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 열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 참석했다. 사진은 유엔TV 화면 캡처. 2023. 11. 27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 열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 참석했다. 사진은 유엔TV 화면 캡처. 2023. 11. 27
이후 해당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북한과 미국이 설전을 벌인 바 있다.

지난해 11월 27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공식 회의에는 참석한 김 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현재 5000개 이상의 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데, 왜 북한의 인공위성만 문제를 삼느냐”고 반박했다.

이전 안보리 결의에 따라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사용을 금지한 것과 관련해서는 “그럼 미국은 위성을 쏠 때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투석기로 위성을 날리느냐”며 되받아쳤다.

송현서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