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부산행’ 현실로?…“좀비 사슴, 인간에 전염될 수 있다” [핵잼 사이언스]
박종익 기자
입력 2023 12 26 16:17
수정 2023 12 26 16:18
CWD는 광우병과 마찬가지로 ‘프리온'(Prions)이라는 변형 단백질에 의해 발생하는 사슴 신경성 질환을 말한다. 사슴류를 감염시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히며, 뇌가 파괴되면서 스펀지처럼 구멍이 생기는 증상을 동반한다. 마치 광우병에 걸린 소처럼 침을 흘리거나 주저앉는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광록병’으로 불렸으나, 혐오성 명칭이라는 지적에 따라 사용이 자제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CWD는 미국 32개주 및 캐나다 3개주를 포함해 우리나라에까지 확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달에는 미국 대표 국립공원인 옐로스톤에서 CWD에 걸린 사슴이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공원이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외 관계부처들은 CWD가 광우병과는 다르게 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닌 것으로 보고있다. 미국 국립공원관리청도 “CWD가 인간, 다른 가축 등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증거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감염된 동물의 조직, 고기는 (당분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미네소타 대학 CWD 전문가인 코리 앤더슨 박사는 이에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는 최근 영국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CWD의 이종간 감염 사례가 없다고 해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다"면서 "영국에서 발생한 광우병은 가축에서 사람으로 확산되는 사건이 하룻밤 사이에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코넬 대학 질병생태학자인 레이나 플로라이트 박사도 "인간과 가축, 야생동물 사이의 종간 장벽을 넘다드는 위험한 인수공통전염병의 배경으로 CWD를 봐야한다"면서 "질병을 옮기는 동물과 인간의 거주지와의 접촉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발병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CWD에 대한 백신과 치료법은 현재 없는 상태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사슴고기를 먹기 전 해당 동물에 대한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