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신으로 산 뭉크가 그린 금쪽같은 아이들 [으른들의 미술사]

뭉크, ‘린데 박사의 네 아들’, 1903, 캔버스에 유채, 144x200cm, 뤼베크 벤하우스 미술관.
뭉크, ‘린데 박사의 네 아들’, 1903, 캔버스에 유채, 144x200cm, 뤼베크 벤하우스 미술관.
안과의사 막스 린데 박사(Dr. Max Linde, 1862~1940)는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1863~1944)의 초기 후원자 가운데 하나다. 1902년 뭉크는 린데 박사와 함께 지내며 린데 박사의 집과 가족을 14점 그렸다.

뭉크는 린데 박사의 네 아이들의 초상을 그렸다. 네 아이들은 공원에서 놀다 집으로 들어오라는 부름을 듣고 지금 막 도착한 참이다. 네 아이들은 외국에서 온 손님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뭉크는 낯선 이를 바라보는 이 아이들을 그려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서 있는 자세로 본 아이들의 성격 표현  

뭉크는 이 아이들을 세심한 눈으로 각자의 성격을 표현했다. 키 순서대로 왼쪽에서 벽에 기댄 아이가 첫째 아이이며 그 앞에 막내가 서 있다. 특히 막내와 첫째의 몸이 붙어 있는 걸로 봐서 막내는 아직 낯선 이가 두려워 큰형에게 의지하고 있다.

첫째 아이는 벽에 기대 삐딱하게 서 있는 걸로 봐서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 아이는 벌써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하며 동생들 그리고 낯선 이와 함께 있는 이 순간이 귀챦다. 그러나 손이 많이 가는 막냇동생만큼은 자신이 보살펴야 한다는 책임감이 강한 아이다.

반면, 오른편에 서 있는 둘째 아이는 형제들과 따로 떨어져 있어 매우 독립심이 강해 보인다. 다리를 벌리고 뒷짐을 져 매우 강한 자아의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빨간 리본이 달린 챙 넓은 모자를 챙긴 걸로 봐서 이제 막 멋부리기 시작한 아이다. 이 시기 아이들의 특징은 자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자신을 꾸미려 노력한다는 점이다. 다만 과하다 싶을 정도로 유행하는 모든 아이템을 섞는다는게 문제다.

팔십 평생 독신으로 산 뭉크가 그린 의외의 그림 

가운데 배꼽손 자세를 한 셋째는 낯선 사람의 등장을 반기는 유일한 인물이다. 아이는 가운데 서서 낯선 이를 정중한 태도로 맞이하고 있다. 셋째 아이가 보인 환영의 태도는 화가 혹은 관람자를 맞이하는 태도다.

셋째가 보이는 환영의 태도는 형제 사이에서 살아남는 방법이기도 하다. 첫째는 책임감으로, 둘째는 자신감으로, 막내는 애교로 자신의 장점을 드러낼 수 있지만 셋째는 친근함으로 다가가야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막내는 오른손을 뒷짐 지고 있으나 아직 사회 생활이나 다 함께 하는 단체 생활을 해본 적이 없어 집단의 규율을 따르지 못한다. 아이의 발은 자제력이나 의지력이 부족해 땅에서 떨어져 있거나 손수건으로 이 어색한 순간을 모면하려 하고 있다. 

네 아이를 여러 차례 관찰한 뭉크는 책임감이 강한 아이, 독립심이 강한 아이, 사회성이 발달한 아이, 그냥 귀여운 아이 등 아이들을 보이는 대로 그렸다. 팔십 평생을 독신으로 산 뭉크가 아이들을 세심히 관찰하며 그린 것은 의외다. 아이들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면 금쪽이는 보이지 않는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