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미국을 미술계 신흥 강자로 이끈 잭슨 폴록 [으른들의 미술사]

추상표현주의는 유럽 중심의 미술에서 미국 중심의 미술로 전환한 최초의 미술사조 운동이다. 이로써 뉴욕은 현대 미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현재까지 추상 미술 운동을 이끌고 있다. ‘으른들의 미술사’는 2025년 1월 10일 개최되는 ‘뉴욕의 잭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의 친구들’ 전시를 맞아 추상표현주의 작품들을 살펴본다.


앞줄 오른쪽 끝에 마크 로스코가, 두 번째 줄 가운데에 잭슨 폴록이 앉아 있다. 둘 다 다른 이들과 다른 방향으로 앉아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앞줄 오른쪽 끝에 마크 로스코가, 두 번째 줄 가운데에 잭슨 폴록이 앉아 있다. 둘 다 다른 이들과 다른 방향으로 앉아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위 단체 사진은 ‘뉴욕 화파’라 불린 예술가들의 사진이다. 여기에는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윌리엄 드 쿠닝 등이 보인다. 특히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두 작가, 폴록과 로스코는 다른 이들과 방향을 달리해 앉아 있다.

1940년대 중반 유럽은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미술계를 비롯한 사회 체계가 완전히 붕괴되어 버렸다. 유럽 땅에서 더 이상 희망을 찾기 어려웠던 몬드리안, 뒤샹, 에른스트와 같은 예술가들은 대거 미국 망명길에 올랐다. 유럽에서 온 한스 호프만과 알퍼스 같은 예술교육자들은 미국에서 못다 한 그들의 꿈을 이루고자 했다. 1930년대 이주한 호프만은 폴록과 폴록의 부인 리 크레즈너를 길러낸 스승이다.

유럽의 자양분으로 성장한 미국뉴욕 화파는 유럽 미술가들과 달리 전통에 얽매일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미국은 유럽과 달리 오랜 기간 축적된 미술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뉴욕 화파들의 전통적으로 그려오던 미술 관습을 과감히 벗어던질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폴록은 전통적인 이젤과 붓 대신 바닥에 놓고 그리거나 캔에 구멍을 내 물감을 이리저리 뿌리며 그렸다. 따라서 폴록의 그림에서 정교하게 그리는 인체나 자연 풍경은 드러나지 않는다.

1950년 뉴욕 이스트 햄프턴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는 잭슨 폴록.
1950년 뉴욕 이스트 햄프턴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는 잭슨 폴록.


리처드 프린스, ‘카우보이’, 1989, 크로모젠 인화, 127×178㎝,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리처드 프린스, ‘카우보이’, 1989, 크로모젠 인화, 127×178㎝,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카우보이, 프런티어의 상징특히 폴록이 캔버스 안으로 들어가서 물감을 뿌리는 행위는 미국의 상징인 카우보이를 연상시켰다. 바로 이 장면이 폴록을 가장 대표적인 미국 화가로 만들어 주었다. 미국은 카우보이로 상징되는 개척자, 프론티어 정신을 중요하게 여긴다. 프런티어는 거친 서부를 개척해 온 미국의 정신을 상징한다. 폴록은 이를 의식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예술이 미국 정신을 상징한다는 것이 싫지 않았다. 이후 폴록은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마침내 정상에 오를 수 있었다.

1940년대 전쟁의 상처로 허덕이는 유럽 무대를 대신해 신흥 강자로 떠올랐던 미국은 현재까지도 예술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미술과 경제 성장은 궤를 같이하기 때문이다. 다음 신흥 강자가 등장할 때까지 당분간 미국 중심의 미술 시장은 계속될 것이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