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 ‘진실·거짓’ 구분법 찾았다(연구)

문자 메시지 ‘진실·거짓’ 구분법 찾았다
문자 메시지 ‘진실·거짓’ 구분법 찾았다


문자 메시지의 내용이 진실인지 아니면 거짓인지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찾았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코넬대 연구진이 문자 메시지에 ‘거짓’을 포함한 유형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위해 안드로이드용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이를 참가자들의 스마트폰에 내려받게 한 뒤 일주일 동안 총 1703개의 대화 내용을 수집했다. 그중 거짓을 포함한 문자 메시지는 351개였다.

또 이들은 메시지의 진실과 거짓을 구분할 때 각 유형에 따라 사용한 평균 단어 수와 성별, 그리고 학생 신분을 파악했다.

이밖에도 문자 메시지에서 ‘나’(I)와 같은 자기지향 단어, ‘너’(you)와 같은 타인지향 단어, 그리고 ‘아마, 가능한, 확실히 등’(probably, possible, sure, etc)과 같은 모호한 문구를 사용한 비율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거짓말쟁이들은 의사소통할 때 ‘그는/그녀는’(he/she)과 같은 대명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진위를 구분할 때 특히 대명사가 큰 역할을 해 흥미로웠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거짓을 포함한 문자 메시지가 진실된 문자 메시지보다 긴 경향이 있었다. 평균적으로 거짓된 문자에는 단어 8개, 진실된 문자에는 단어 7개가 포함됐다.

하지만 그 차이는 남녀에 따라 조금 달랐다. 여성은 진실된 문자 메시지를 보낼 때 단어를 평균 8개 사용했지만, 거짓이 포함된 문자에서는 단어를 평균 9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남성은 진위 여부를 떠나 문자 메시지에서 평균 8개의 단어를 사용했다.

이외에도 거짓말쟁이들은 ‘너는’(you)과 같은 타인지향 대명사보다 ‘나는’(I)과 같은 자기지향 대명사를 더 자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역시 성별에 따라 구별하니 차이가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앞서 우리는 자기지향적 단어를 거짓말할 때 더 많이 사용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하지만 우리가 성별에 따라 자료를 다시 분석하면 여성들이 자기지향 단어를 더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반면 남성은 ‘나는’(I)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가 적고 ‘나의’(my)나 ‘나를’(me)이라는 단어를 쓸 때가 많았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남녀 모두 거짓말할 때 모호한 문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놀랄 일은 아니다”면서 연구진은 당연한 현상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남성은 ‘확실히’(sure)를 더 많이 쓰지만, 여성은 ‘시도하다’(try)는 단어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코넬대가 운영하는 온라인 논문저장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