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잼 사이언스] 사자 만한 덩치…수백만 년 전 살았던 ‘거대 수달’ 화석 발견

사진=Sabine Riffaut, Camille Grohé / Palevoprim / CNRS – Université de Poitiers
사진=Sabine Riffaut, Camille Grohé / Palevoprim / CNRS – Université de Poitiers
수달과 해달은 수중 환경에서 먹이를 구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성공한 소형 포유류다. 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수백만 년 전 아프리카에 살았던 대형 수달이 현재 수달과 다른 방법으로 자연계에서 성공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프랑스 푸아티에 대학 과학자들은 에티오피아에서 250~350만 년 전 살았던 신종 거대 수달의 화석을 발견했다. 현생 수달이 대부분 5㎏ 이하의 작은 포유류이고 자이언트 수달이나 해달 같은 예외적인 경우도 30~40㎏ 정도지만, 새로 발견된 엔히드리오돈 오모엔시스(Enhydriodon omoensis)의 몸무게는 사자나 호랑이와 비슷한 200㎏에 달했다.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강이나 호수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아서는 유지할 수 없는 체중이다.
사진=Sabine Riffaut/PALEVOPRIM/Université de Poitiers/CNRS
사진=Sabine Riffaut/PALEVOPRIM/Université de Poitiers/CNRS
연구팀은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엔히드리오돈의 서식지와 먹이사슬에서의 위치를 분석했다. 일반 산소나 탄소보다 약간 무거운 동위원소는 체내에 잔류하는 특징이 있는데 생물마다 고유한 비율이 있어 이 동식물을 먹고 사는 동물의 동위원소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면 멸종 동물이 주로 무엇을 먹고 살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동위원소 분석 결과 엔히드리오돈은 물가에서 먹이를 구하는 현생 수달이나 해산물을 먹는 해달과 달리 육지 동물을 사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엔히드리오돈의 동위원소 분석 결과는 사자나 하이에나 같은 다른 육상 포식자와 비슷했다. 몸집만 사자 같은 게 아니라 실제 생태학적 지위도 사자와 비슷한 수달이었던 셈이다.

참고로 이 시기에는 현생 인류보다 작은 인간의 오랜 조상들이 아프리카에 살고 있었다. 크기 차이를 생각하면 엔히드리오돈은 이들에게 공포의 존재였을지도 모른다.(복원도 참조) 발견된 골격 화석이 적어서 현재의 수달처럼 귀여운 외모였는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자 같은 덩치 덕분에 엔히드리오돈은 생태계 정점에 군림하는 포식자 중 하나였을 것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