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검 같은 이빨”…8m ‘고대 바다도마뱀’ 화석 발견 [다이노+]

8m 바다도마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상상도.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상상도.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공룡 시대 끝무렵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군림한 약 8m 길이의 새로운 바다도마뱀 화석이 발견됐다.

6일(현지시간)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영국 배스대 연구진은 전날 성명을 통해 모로코 한 광산에서 발굴됐던 모사사우루스 두개골 등 뼈 화석을 분석해 신종 바다도마뱀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8m 바다도마뱀의 화석 일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화석 일부.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화석 일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화석 일부.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킨자리아 아쿠타’(Khinjaria acuta)라는 이름이 붙여진 신종 바다도마뱀은 몰길이 약 7~8m로, 오늘날 범고래와 비슷하다.

연구진은 이 바다도마뱀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나 트리케라톱스와 같은 공룡이 지배한 약 6600만 년 전인 백악기 후기 말까지 살았다고 말했다.
8m 바다도마뱀의 화석 일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화석 일부와 형태를 나타낸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화석 일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화석 일부와 형태를 나타낸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날카로운 이빨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 화석.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날카로운 이빨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 화석.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두개골 그림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두개골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두개골 그림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두개골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연구를 주도한 니컬러스(닉) 롱그리치 배스대 교수는 이 바다도마뱀 종은 길고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녔다고 밝히면서도 ‘악마의 얼굴’과 ‘칼 같은 이빨’을 가졌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런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이 이 동물에게 ‘악몽 같은 외모’와 ‘끔찍한 무는 힘’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

BBC는 이 종의 외모가 연구진으로 하여금 완벽한 이름을 찾도록 이끌었다고 전했다.

롱그리치 교수에 따르면 킨자리아 아쿠타는 “날카로운 단검”을 의미한다. 킨자르(khinjar)는 ‘단검’이라는 아랍어, 아쿠다는 ‘날카로운’이라는 라틴어다.

이 무시무시한 동물은 이미 ‘쥬라기 월드’와 같은 영화를 통해 널리 알려진 대형 해양 파충류 모사사우루스과에 속한다. 영화 속 모사사우루스는 18m급으로 과장됐으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최대 12m 정도로 보고 있다. 이들 종은 바다도마뱀 목에 속하는 데, 오늘날 코모도왕도마뱀이나 아나콘다의 먼 친척이기도 하다.
8m 바다도마뱀의 크기 비교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위쪽)와 오늘날 인간의 신체 크기를 비교한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의 크기 비교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위쪽)와 오늘날 인간의 신체 크기를 비교한 그림.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연구진은 킨자리아 아쿠타가 모로코 해안과 접한 대서양에 살던 다양한 최상위 포식자들 중 한 종일 뿐이라고 말한다. 그만큼 당시에는 무시무시한 바다 괴물이 즐비했다는 것이다.

롱그리치 박사는 “이 동물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던 가장 다양한 해양 동물 중 하나였다”며 “해양 파충류와 공룡이 멸종하기 전까지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킨자리아 아쿠타와 같은 모사사우루스는 공룡과 함께 지구상에서 멸종했다. 이 덕분(?)에 고래나 바다표범과 같은 해양 포유류, 황새치나 다랑어 같은 대형 어류가 번성하는 바다가 열렸다. 오늘날 해양 먹이 사슬에서 최상위 포식자가 더 적은 것도 당시 대멸종 때문이었다.
8m 바다도마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상상도.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8m 바다도마뱀
날카로운 단검 같은 이빨을 지닌 해양 파충류 킨자리아 아쿠타의 상상도. / 사진=닉 롱그리치 엑스
롱그리치 박사는 “지난 6600만 년 동안 생태계 구조에 엄청난 변화가 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렇게 다양한 최상위 포식자가 백악기 후기에 존재한 사례는 이례적”이라면서 “오늘날 해양 생태계에서는 이런 현상을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양 파충류가 생태계를 변하게 한 뭔가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먹이나 환경 탓인지는 알 수 없다”며 “당시에는 대형 물고기와 바다 거북, 심지어 해양 파충류에게도 엄청나게 위험한 시기였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 1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