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생이 그린 문과 그림 [으른들의 미술사]
입력 2023 10 18 09:30
수정 2023 10 19 11:15
그는 사실 뮌헨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약제사로 일한 이과 전공생이다. 그는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은 후 약제사를 그만두고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한 지독한 연습벌레였다.
‘책 벌레’는 벽면을 가득 채운 책장에서 책을 찾아 읽는 나이든 도서 애호가의 모습을 담았다. 노인은 형이상학(Metaphsik) 코너에서 책을 찾고 있다. 형이상학이란 존재에 대한 근본 원리를 깨우치는 학문이며, 이를 학문의 근원으로 보고 체계를 세운 인물은 아리스토텔레스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학을 배운 이후 존재에 대한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형이상학(metaphysics)을 ‘자연학(physica) 그 다음(meta) 학문’으로 주장했다. 여기에서 형이상학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약제사를 그만두고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한 연습벌레
노인은 원하는 형이상학 책을 찾기 위해 사다리를 타고 책을 찾고 있다. 이 노인은 자신이 원하는 책을 찾기 위해 아래에서부터 찾았을 것이다. 그러나 노인이 찾는 책이 없는지 노인은 가랑이, 팔, 손에 각각 책을 고정한 채 또 다른 책을 읽고 있다.
그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은 노안과 근시로 책에 얼굴을 묻고 보는 모습뿐 아니라 집중하느라 입을 삐죽 내민 데서도 보인다. 그러나 이 작품이 불안해 보이는 이유는 바닥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다만 화면 왼편 아래 보이는 천체 지구본의 일부를 통해 볼 때 이 작품의 바닥을 짐작할 따름이다. 노인은 세계 문제에는 관심이 없고, 그렇다고 현실 문제에도 딱히 관심이 없다. 오로지 노인의 관심은 존재에 대한 근본 원리, 즉 형이상학만 파고드는 책벌레다.
학문에는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과 직결되는 영역이 있기도 하고 인류의 사상을 정리하여 연구하는 분야도 있다. 애초에 이 작품은 현실에 도움이 되지 않는 학문을 연구하는 노인을 풍자하기 위한 의도로 그려진 그림이다.
그러나 인간과 관련된 근원적인 존재와 사상을 연구하는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본다면 이 작품은 이렇게 위태로운 상황에서라도 학문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함을 말하고 있다.
스티브 잡스는 인문학적 감성과 창의적인 기술을 결합할 줄 아는 인간만이 미래를 선점할 수 있다고 했다. 이과생이 그린 문과 그림처럼 학문의 좌우 양날개로 비상해야만 더 멀리, 더 높이 날 수 있다. 인문학 위기 속 19세기 책벌레 그림 이야기를 들려주며 문과생들에게 용기를 주고 싶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