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평화의 메시지가 필요한 지금, 프라하 ‘존 레논 벽’ [한ZOOM]

체코의 수도 프라하에 있는 ‘존 레논 벽’(Lennon Wall)은 폭력과 억압으로부터 자유와 평화를 쟁취한 체코인들의 역사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존 레논의 평화와 반전주의를 상징하는 이 공간을 존 레논은 직접 방문한 적은 없다고 한다.
체코의 수도 프라하에 있는 ‘존 레논 벽’(Lennon Wall)은 폭력과 억압으로부터 자유와 평화를 쟁취한 체코인들의 역사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존 레논의 평화와 반전주의를 상징하는 이 공간을 존 레논은 직접 방문한 적은 없다고 한다.
4년 전 가을 구글 맵이 가리키는 길을 따라 한참을 걷고 있었다. 도착한 장소는 스트리트 뷰로 본 모습과 다르지 않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누가 봐도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었다. 그토록 보고 싶었던 ‘레논 벽’(Lennon Wall)은 불투명 천막에 가려져 있어 아쉽게 발길을 돌렸다.

4년이 지나 다시 그곳을 방문했을 때 다행히 몸은 길을 기억하고 있었다. 저 멀리 4년 전 천막에 가려져 있던 벽이 보이기 시작했다. 모르는 사이에 발걸음이 빨라지기 시작했다. 벽 앞에 서서 살며시 손을 가져다 대었다. 그리고 마침내 ‘존 레논 벽’에게 인사를 했다.

‘오랜만 이에요. 다시 만나 반갑습니다.’(It’s been a long time. Good to see you again.)
프라하 신시가지에 있는 바츨라프 광장은 1968년 체코사태 당시 수많은 사람들이 소련의 무력 탄압에 저항했던 장소이다. 소련의 무력 앞에 시위는 실패로 돌아갔고 체코의 지도자는 끌려갔다. 이 모습을 본 한 외신기자는 ‘프라하의 봄은 언제 올 것인가’라는 기사를 썼다.
프라하 신시가지에 있는 바츨라프 광장은 1968년 체코사태 당시 수많은 사람들이 소련의 무력 탄압에 저항했던 장소이다. 소련의 무력 앞에 시위는 실패로 돌아갔고 체코의 지도자는 끌려갔다. 이 모습을 본 한 외신기자는 ‘프라하의 봄은 언제 올 것인가’라는 기사를 썼다.
서울의 봄 그리고 프라하의 봄1968년 알렉산데르 둡체크(Alexander Dubček·1921~1992)가 체코 공산당 서기장 자리에 올랐다. 개혁주의자였던 둡체크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정치, 경제 모든 분야에서 개혁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그의 행보는 체코 국민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소련은 둡체크를 그냥 둘 수 없었다. 둡체크가 일으킨 변화의 물결이 공산권 국가로 퍼져 나갈 것이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소련은 체코로 군대를 보냈고, 프라하 바츨라프 광장에는 소련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수많은 사람들이 다치거나 끌려갔다. 둡체크는 유혈사태가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체코 군대와 국민들에게 소련에 저항하지 말 것을 당부한 후 소련에 투항했다.

당시 한 외신기자가 이 사태를 두고 ‘프라하의 봄은 과연 언제 올 것인가’라는 기사를 썼다. 이후 ‘봄’은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라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부다페스트의 봄’, ‘서울의 봄’ 등 자유화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어김없이 등장했다.

체코사태 이후 약 30년의 시간이 흘렀다. 동구권에 불기 시작한 변화의 바람이 프라하에도 불었다. 1989년 수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자유를 외치기 시작했다. 경찰이 비폭력 평화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자 더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무력은 변화의 바람을 이길 수 없었다. 주변 공산주의 정권들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체코의 반정부 평화시위도 식을 줄 몰랐다. 결국 체코 공산당은 물러갔고, 역사는 이 혁명을 피를 흘리지 않고 자유를 얻었다고 하여, ‘벨벳혁명’(Velvet Revolution)으로 기록하고 있다.
존 레논이 집 앞에서 기다리고 있던 팬에게 싸인을 해주는 장면이다. 이 사진은 존 레논의 살아 있는 모습이 담긴 마지막 사진이 되었다. 존 레논은 이 팬이 쏜 38구경 권총에 맞아 숨을 거두었다. 사진 속 오른쪽에 있는 남자가 존 레논을 죽인 마크 채프먼이다.
존 레논이 집 앞에서 기다리고 있던 팬에게 싸인을 해주는 장면이다. 이 사진은 존 레논의 살아 있는 모습이 담긴 마지막 사진이 되었다. 존 레논은 이 팬이 쏜 38구경 권총에 맞아 숨을 거두었다. 사진 속 오른쪽에 있는 남자가 존 레논을 죽인 마크 채프먼이다.
‘프라하의 봄’을 예견한 존 레논1980년 12월 8일 미국 뉴욕 다코타 빌딩(The Dakota) 앞에서 다섯 발의 총성이 울려 퍼졌다. 총을 맞은 남자는 급히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과도한 출혈로 사망했다. 그는 비틀즈의 멤버였고 싱어송라이터 이자 평화주의 사회운동가인 존 레논(John Lennon·1940~1980)이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40세였다.

자유와 평화를 노래하던 존 레논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체코에서 익명의 화가가 천주교 성당 벽에 존 레논의 얼굴과 그의 노래 가사를 그렸다. 이후 이 벽에는 자유와 평화를 주제로 한 글과 그림들이 채워지기 시작했다. 공산당 정부는 이 벽에 그려진 메시지를 지웠지만, 아침이 되면 다시 자유와 평화를 갈망하는 메시지들이 채워졌다. 벽을 허물면 그만이겠지만 아무리 정부라고 해도 천주교 성당 벽을 마음대로 허물 수는 없었다.

1989년 프라하에서 벨벳혁명이 일어났다. 전국에서 온 사람들이 비밀리에 모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개방된, 그러면서 잘 알려진 장소가 필요했다. 레논 벽이 바로 그런 장소였다. 매일 이 곳에서 출발해 바츨라프 광장으로 이어지는 시위와 촛불집회가 일어났고 결국 자유를 얻어낼 수 있었다.
존 레논 벽은 프라하의 유명한 관광지이다.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이 벽을 찾고 있으며, 벽의 주변에서는 존 레넌의 노래를 부르는 거리의 시인들을 만날 수 있다.
존 레논 벽은 프라하의 유명한 관광지이다.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이 벽을 찾고 있으며, 벽의 주변에서는 존 레넌의 노래를 부르는 거리의 시인들을 만날 수 있다.
만나지 못한 ‘존 레논’과 ‘레논 벽’지금 이 순간에도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레논 벽을 찾아오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존 레논은 이 곳을 방문한 적이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많은 사람들이 존 레논의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은 이 곳을 찾는 이유는 존 레논과 같은 꿈을 꾸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생명과 가족을 잃어가고 있다.

존 레논 당신이 꿈꾸었던 세상이 자꾸만 거꾸로 돌아가고 있지만 그래도 평화를 위한 희망이 있기 때문에 기도로 힘을 보태기 위해 이 곳을 찾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다시 이곳을 찾을 때는 그 기도가 실현되길 바라며 발걸음을 돌렸다.

한정구 칼럼니스트 deeppocket@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