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은 수컷, 반은 암컷…신비한 꿀먹이새, 100년 만에 발견 [핵잼 사이언스]

반은 수컷, 반은 암컷…신비한 꿀먹이새, 100년 만에 발견 / 사진=존 무리요
반은 수컷, 반은 암컷…신비한 꿀먹이새, 100년 만에 발견 / 사진=존 무리요
반은 수컷이고 반은 암컷인 신비한 새가 콜롬비아에서 발견됐다.

13일(현지시간) 뉴질랜드 헤럴드 등에 따르면, 오타고대 연구팀은 콜롬비아에서 목격된 한 녹색꿀먹이새(학명 Chlorophanes spiza)는 깃털의 절반이 암컷의 녹색이고 나머지는 수컷의 파란색인 암수 특징을 모두 갖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새는 연구 책임자인 해미시 스펜서 교수(동물학과)와 함께 지난해 휴가를 갔던 친구이자 조류 애호가 존 무리요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두 사람은 과거 콜롬비아 등 남아메리카 국가에서 흔히 발견됐던 이 새가 개체 수 감소로 목격이 쉽지 않은 데다 특별한 개체를 발견했다는 사실에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스펜서 교수는 “처음에는 믿기지가 않았다. 깃털은 중앙을 기준으로 불규칙하게 나눠져 있어 덜 자란 수컷으로 의심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 사진=존 무리요
스펜서 교수는 “처음에는 믿기지가 않았다. 깃털은 중앙을 기준으로 불규칙하게 나눠져 있어 덜 자란 수컷으로 의심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 사진=존 무리요
스펜서 교수는 “처음에는 믿기지가 않았다. 깃털은 중앙을 기준으로 불규칙하게 나눠져 있어 덜 자란 수컷으로 의심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와 동료 연구원들은 무리요가 촬영한 방대한 사진을 분석하고, 이 새가 ‘자웅 모자이크’(또는 암수 모자이크)라고 불리는 변이 현상에 의해 이같은 깃털을 갖게 됐다고 결론 지었다.
오타고대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본 새의 경우 알을 형성하는 감수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와 이후 분리된 정자에 의해 이중 수정으로 자웅 모자이크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 사진=존 무리요
오타고대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본 새의 경우 알을 형성하는 감수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와 이후 분리된 정자에 의해 이중 수정으로 자웅 모자이크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 사진=존 무리요
이들은 논문을 통해 “본 새의 경우 알을 형성하는 감수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변이와 이후 분리된 정자에 의해 이중 수정으로 자웅 모자이크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자웅 모자이크는 바닷가재와 게, 거미와 같은 절지동물과 곤충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성이형(암수가 매우 다르게 보이는 종) 조류에서는 특히 드물게 보고된다.
녹색꿀먹이새의 경우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 사례는 약 100년 전이었다. 스펜서 교수는 “우리가 본 새는 왼쪽이 암컷(녹색)이고 오른쪽이 수컷(파란색)”이라고 밝혔다. / 사진=존 무리요
녹색꿀먹이새의 경우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 사례는 약 100년 전이었다. 스펜서 교수는 “우리가 본 새는 왼쪽이 암컷(녹색)이고 오른쪽이 수컷(파란색)”이라고 밝혔다. / 사진=존 무리요
녹색꿀먹이새의 경우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 사례는 약 100년 전이었다.

이에 대해 스펜서 교수는 “우리가 본 새는 왼쪽이 암컷(녹색)이고 오른쪽이 수컷(파란색)”이라고 밝히면서도 “마지막으로 기록된 새는 왼쪽이 수컷(파란색)이고 오른쪽이 암컷(녹색)”이라고 설명했다.

이 새가 번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아무도 이 새를 포획하지 못했기에 모른다”며 “(꿀먹이새가 속한) 명금류의 대부분이 암컷은 난소가 하나만 있는 반면 수컷은 양쪽에 고환이 있다. 이 새의 생식 기관이 제대로 기능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답했다.

자세한 연구 성과는 ‘현장 조류학 저널’(Journal of Field Ornith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