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면 스스로 치료’…침팬지의 놀라운 지능 (영상)

사포나무 열매를 먹고 있는 우간다 부동고 숲의 침팬지 / 사진=멜로디 프레이만
사포나무 열매를 먹고 있는 우간다 부동고 숲의 침팬지 / 사진=멜로디 프레이만
야생 침팬지가 아프거나 다치면 약용 식물을 복용해 스스로 치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야생 침팬지는 영양가가 낮지만 약용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는 식물을 포함해 다양한 식물을 섭취한다.

이에 침팬지가 스스로 약을 복용한다고 추정돼 왔지만, 이런 행동에 의도가 있다는 점을 입증하기가 어려웠다.

또 다른 영장류 오랑우탄이 얼굴에 난 상처에 약용 식물을 바르고 낫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지만, 이는 개별적인 사례로 여겨졌다.

그러나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침팬지가 아플 때 의도적으로 약용 식물을 복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우간다의 부동고 중앙산림보호구에 사는 침팬지 무리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116일간 침팬지 51마리의 건강 상태를 살피면서 어떤 식물들을 먹는지 주의 깊게 기록했다. / 사진=플로스원
연구팀은 116일간 침팬지 51마리의 건강 상태를 살피면서 어떤 식물들을 먹는지 주의 깊게 기록했다. / 사진=플로스원
연구팀은 116일간 침팬지 51마리의 건강 상태를 살피면서 어떤 식물들을 먹는지 주의 깊게 기록했다.
연구팀은 아프거나 다친 침팬지가 먹었거나 이전 연구에서 침팬지가 약용으로 복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됐던 식물 13가지의 표본을 수집해 실험실에서 성분을 검사했다. / 사진=플로스원
연구팀은 아프거나 다친 침팬지가 먹었거나 이전 연구에서 침팬지가 약용으로 복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됐던 식물 13가지의 표본을 수집해 실험실에서 성분을 검사했다. / 사진=플로스원
이 과정에서 아프거나 다친 침팬지가 먹었거나 이전 연구에서 침팬지가 약용으로 복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됐던 식물 13가지의 표본을 수집해 실험실에서 성분을 검사했다.

그 결과, 대부분(약 80%)의 식물은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가 있고, 3분의 1은 염증을 감소시키는 항염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손을 다친 수컷 침팬지는 양치 식물을 복용했는데, 이 식물은 통증이나 붓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항염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다른 어린 침팬지는 아프리카 전통 의약에서도 기생충 치료에 쓰이는 고양이가시나무 껍질을 벗겨 먹었는데 이 개체의 이전 배설물을 분석한 결과, 실제로 심각한 기생충 감염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례는 침팬지가 약용 식물을 우연히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부상이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를 적극적으로 찾아서 복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야생 침팬지가 동료와 식물을 나눠먹는 모습.
야생 침팬지가 동료와 식물을 나눠먹는 모습.
연구팀은 침팬지가 어떻게 약용 식물을 먹는 법을 터득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지만, 이런 영장류에 대한 관찰이 새로운 약물을 발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보동고 산림보호구의 약용 식물과 같이 지금까지 검증되지 않은 식물에는 미래 의약품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 포함돼 있을 수 있다.

연구팀은 식물을 무작위로 실험하는 것보다 침팬지가 약용으로 복용한 것을 검사함으로써 신약 찾기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침팬지는 보노보와 함께 사람과 가장 가까운 살아있는 근연종이므로, 그들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우리에게도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검사한 식물 13종 중 11종은 이미 아프리카 전역에서 전통적인 약용 식물로 알려진 것이었다.

예를 들어, 침팬지가 먹는 사포나무(Ficus exasperata) 열매는 전통적으로 상처와 치질, 성병, 기생충,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쓰여 왔다.

연구를 이끈 엘로디 프레이만 박사는 “침팬지는 우리보다 숲을 더 잘 안다”며 “우리가 새로운 약물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강력한 화합물의 행방을 알려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연구는 야생에서 다른 동물 종을 관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의학적 지식 뿐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해 숲이라는 약국을 보존해야 하는 긴급한 필요성을 강조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침팬지와 숲을 보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