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의 작품 ‘병든 아이’ 실제 모델은 누구 [비욘드 더 스크림]

병든 아이 I (The Sick Child I), 1896,  종이에 석판 Lithograph, 49.5 x 64 ㎝, Reitan Family Collection.
병든 아이 I (The Sick Child I), 1896, 종이에 석판 Lithograph, 49.5 x 64 ㎝, Reitan Family Collection.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병든아이’(1896)는 어린시절 죽은 누나를 떠올리며 그린 작품이다.

뭉크는 어린시절 어머니와 누나의 죽음으로 인해 평생을 죽음의 공포 속에서 살아가며 이를 화폭에 옮겼다. ‘병든 아이’는 뭉크의 개인적인 경험이 그의 예술에 어떻게 반영됐는 지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병든 아이’의 실제 모델은 누나 요한 소피에(1862~1877)가 아닌 ‘베치 닐슨’(Betzy Nilsen)이라는 영양실조에 걸린 동네 아이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에드바르 뭉크 특별전 ‘비욘드 더 스크림’에 전시된 ‘병든 아이’.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색감의 ‘병든아이’ 6점을 볼 수 있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에드바르 뭉크 특별전 ‘비욘드 더 스크림’에 전시된 ‘병든 아이’.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색감의 ‘병든아이’ 6점을 볼 수 있다.
이은경 도슨트(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는 “뭉크가 화가로서 성공했을 때 그림 한점을 팔면 집 한채를 살 정도였는데, 이 소문을 듣고 베치 닐슨이 찾아와 경제적인 도움을 요청했다”면서 “뭉크는 누나에 대한 슬픔과 죄책감으로 이 아이를 경제적으로 도와주게 된다”고 말했다.

뭉크는 1885년 처음으로 그린 ‘병든 아이’를 노르웨이에서 전시했다가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게된다. 초기에는 자신이 없어 ‘습작’이라는 제목으로 그렸지만 이후 다양한 색감으로 여러개의 작품을 남기게 된다.

이 도슨트는 “‘병든 아이’ 작품은 작품마다 각기 다른 느낌을 준다”면서 “그림을 자세히 보면 소녀의 앞 머리가 힘없이 바람에 날리는데 판화의 색이 옅을 수록 아이의 숨이 더욱 가늘게 느껴진다. 마치 죽음이 더 가까이 다가온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병실에서의 죽음,  1895, 캔버스에 오일, 149.8 X 167.6㎝, 노르웨이 국립박물관.
㎝병실에서의 죽음, 1895, 캔버스에 오일, 149.8 X 167.6㎝, 노르웨이 국립박물관.
이어 “ 유화 버전과는 다르게 판화 버전에는 병든아이가 바라보는 바깥 풍경을 하단에 그려넣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누나의 죽음은 뭉크의 1893년 작품 ‘병실에서의 죽음’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에드바르 뭉크 특별전 ‘비욘드 더 스크림’에서는 다양한 색감의 ‘병든아이’ 6점을 볼 수 있다. 전시회는 지난달 22일 개막했으며, 오는 9월 19일까지 열린다.


조현석 기자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