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풍호반’의 고장 제천에 전해지는 두 개의 설화 [한ZOOM]

‘힐링’의 도시 충북 제천의 대표명소인 의림지(義林池)는 삼한시대에 관개농업을 위해 만든 인공 저수지이다. 의림지는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인공 저수지로 불린다.
‘힐링’의 도시 충북 제천의 대표명소인 의림지(義林池)는 삼한시대에 관개농업을 위해 만든 인공 저수지이다. 의림지는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인공 저수지로 불린다.
의림지에 전해 지는 설화 …심술궂은 부자와 스님오래 전 충북 제천에 심술궂고 성질이 사나운 부자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스님이 집 앞에 찾아와 시주를 부탁하며 목탁을 두드리고 있었다. 부자는 시주를 하는 척하며 스님이 지고 있던 바랑에 똥을 가져다 부었다. 스님은 화도 내지 않고 인사를 하더니 발을 돌렸다. 이 모습을 보고 있던 며느리가 급히 달려왔다.

“스님 너무 죄송합니다. 제발 아버님의 무례를 용서해 주십시오. 제가 아버님 몰래 가져온 쌀입니다. 이거라도 받으시고 노여움 푸시기 바랍니다.”

며느리가 건넨 쌀을 받아 든 스님은 덤덤한 표정으로 알 수 없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아미타불, 곧 이 곳에 비바람과 천둥이 불어 닥칠 것이니, 어서 산 위로 피하시기 바랍니다. 단, 산 위로 피신하는 동안에는 절대 뒤를 돌아봐서는 안됩니다. 명심하십시오. 절대 뒤를 돌아봐서는 안됩니다.”

스님이 돌아간 후, 며느리가 몰래 스님에게 쌀을 주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부자는 화가 나서 며느리를 헛간에 가두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스님이 말한대로 비바람과 천둥이 치기 시작했다. 며느리는 헛간을 빠져나와 정신없이 산을 향해 달렸다.

한참을 달리던 며느리는 문득 가족들이 걱정되었다.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했던 스님의 말이 기억났지만 착한 며느리는 두고 온 가족들을 외면할 수 없어 결국 뒤를 돌아보고 말았다. 그 순간 며느리의 몸은 돌로 변했다. 그리고 집이 있던 자리는 땅으로 꺼지면서 빗물이 고이기 시작했다. 후대 사람들은 호수가 되어버린 이 곳을 의림지(義林池)라고 불렀다.
의림지  주변에 있는 ‘솔밭공원’, ‘용두산 산책로’ 그리고 투명한 유리판 위에 올라서 발 아래로 떨어지는 폭포를 내려다볼 수 있는 ‘용추폭포’를 감상할 수 있다.
의림지 주변에 있는 ‘솔밭공원’, ‘용두산 산책로’ 그리고 투명한 유리판 위에 올라서 발 아래로 떨어지는 폭포를 내려다볼 수 있는 ‘용추폭포’를 감상할 수 있다.
충북 제천의 이름은 의림지(義林池)에서 비롯되었다. 제천(堤川)을 해석하면 ‘물가에 있는 둑’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물이 바로 의림지를 말한다. 제천이 고구려 영토였을 때는 내토(奈土), 신라 영토였을 때는 내제(奈堤)라고 불렸는데, 모두 커다란 둑이라는 뜻이다. 예전에는 충청도를 ‘호서(湖西)’, 즉 호수의 서쪽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호수가 바로 의림지를 말한다.

전설 속에서 의림지는 자연재해로 인해 만들어진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의림지는 삼한시대에 농사를 지을 물을 끌어오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저수지(貯水池)이다.
의림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해가 뜨는 모습이나 해가 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일출성지’ 또는 ‘일몰성지’ 로 유명하다. 사진: 제천시 제공.
의림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해가 뜨는 모습이나 해가 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일출성지’ 또는 ‘일몰성지’ 로 유명하다. 사진: 제천시 제공.
하지만 의림지는 흔히 볼 수 있는 저수지에 머무르지 않는다. 의림지 주변 산책로를 천천히 걸으며 해가 뜨는 모습이나 해가 지는 모습을 본다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일출성지’ 또는 ‘일몰성지’ 해시태그를 붙일 수 있는 근사한 장면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얼마 전부터는 ‘야경성지’ 해시태그를 붙일 수 있는 곳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관광객들에게 의림지란 그저 호젓한 호수이거나 소나무 숲이 우거진 원형 산책로 정도로만 기억되곤 한다. 하지만 의림지의 풍광은 나들이객이 찾아오는 한낮보다는, 아침의 해 뜨는 무렵이나 저녁의 해거름 즈음에 특히 극적이고 근사하다…(중략)…수면에서 물안개 피어올라 솔숲을 감싸는 아침 나절의 모습이나, 노을 지며 용두산과 하늘이 주홍빛에서 다홍빛으로 번져가는 저녁에 물 위로 지는 산그늘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만 말을 잊게 된다. (정원선의 ‘제천, 스물두 개의 아스피린’에서 인용)



박달재에 전해지는 설화…박달 도령과 금봉 낭자의 러브 스토리가수 고(故) 박재홍이 부른 ‘울고 넘는 박달재’의 3절 후렴부에는 ‘도라지 꽃이 피는 고개마다 굽비마다 금봉아 불러보나 산울림만 외롭구나’라는 가사가 있다. 박달재에는 가사에 등장하는 금봉 낭자의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박달재 고갯마루에 오르면 이야기에 등장하는 박달 도령과 금봉 낭자의 동상을 만날 수 있다.
제천의 또 다른 명소 ‘박달재’는 충청북도 제천 봉양읍과 백운면을 이어주는 해발 약 500m의 고개이다.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길이 험하고 가파른 박달재를 넘다가 짐승에게 물려 죽거나 도적을 만나 죽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박달재를 넘어 시집가는 여인은 두 번 다시 친정으로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울면서 고개를 넘었다고 한다. 이 박달재에는 박달 도령과 금봉 낭자의 비극적인 전설이 전해진다. 사진 : 제천시 제공.
제천의 또 다른 명소 ‘박달재’는 충청북도 제천 봉양읍과 백운면을 이어주는 해발 약 500m의 고개이다.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길이 험하고 가파른 박달재를 넘다가 짐승에게 물려 죽거나 도적을 만나 죽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박달재를 넘어 시집가는 여인은 두 번 다시 친정으로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울면서 고개를 넘었다고 한다. 이 박달재에는 박달 도령과 금봉 낭자의 비극적인 전설이 전해진다. 사진 : 제천시 제공.
경상도에서 온 박달 도령이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한양으로 향하고 있었다. 박달재 근처에 도착했을 때쯤 해가 지기 시작했다. 어쩔 수 없이 근처 마을로 갔고 다행히 하룻밤 재워줄 수 있는 집을 찾았다. 박달 도령은 운명처럼 그 집 딸 금봉 낭자와 서로 눈이 맞아 버렸다. 다음 날 한양으로 떠날 계획이었던 박달 도령은 금봉 낭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떠나는 날을 하루 이틀 미루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과거시험이 촉박해져서야 비로소 한양으로 올라갈 채비를 서둘었다.

“내가 꼭 과거시험에 급제해서 낭자를 데리러 오겠소. 그때까지 조금만 참고 기다려주시오.”

금봉 낭자는 박달 도령이 과거시험에 급제하게 해달라고 매일 밤 정성을 다해 기도를 올렸다. 하지만 시간이 가도 박달 도령은 돌아오지 않았다. 애타게 박달 도령을 기다리던 금봉 낭자는 결국 숨을 거두었다.

금봉 낭자가 숨을 거두었다는 소문은 고개와 고개를 넘어 퍼져 나갔다. 이 소식을 들은 박달 도령은 그제서야 돌아왔다. 과거시험에 낙방해 돌아올 면목이 없었다며 금봉 낭자의 무덤 앞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던 박달 도령은 너무 많은 감정을 쏟아낸 탓인지 그만 미쳐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몇 날 며칠 금봉 낭자를 찾아 고개를 헤매다가 그만 벼랑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노래 ‘울고 넘는 박달재’는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 님아’라는 가사로 시작한다. 그래서 처음 박달재 입구에 도착했을 때 ‘이 곳이 바로 노래에 나오는 천등산 이구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곳은 천등산(天登山)이 아니었다. 박달재는 ‘천등산’이 아니라 구학산(九鶴山)과 시랑산(侍郞山) 사이에 있고, 천등산과는 약 5~6㎞ 떨어져 있다.

그렇다면 이 노래는 왜 박달재가 천등산에 있다고 했을까? 박달재를 넘어 충주방향으로 가는 길이 천등산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박달재와 천등산이 연결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작사가 고(故) 반야월도 ‘천등산 박달재’라는 가사를 쓴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슬로시티를 표방하는 제천은 도시생활의 휴식과는 다른 자연 속에서의 진정한 쉼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슬로시티 제천에서는 빠른 걸음으로 하는 여행 보다는 느린 걸음이 더 어울린다.
슬로시티를 표방하는 제천은 도시생활의 휴식과는 다른 자연 속에서의 진정한 쉼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슬로시티 제천에서는 빠른 걸음으로 하는 여행 보다는 느린 걸음이 더 어울린다.
빠른 걸음보다는 느린 걸음이 어울리는 ‘슬로시티’제천에는 도시생활에서 일상을 벗어나 가질 수 있는 휴식(休息)과는 다른 ‘비로소 쉼’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많다. 제천시에서도 물과 산을 벗삼아 느림의 힐링(Healing)을 만날 수 있는 슬로시티(Slow-City)를 표방하고 있다.

그래서 제천에 가면 빠른 걸음으로 더 많은 것을 눈에 사진에 담으려고 하기 보다는, 스마트폰을 주머니 속에 넣고 느린 걸음, 때로는 제자리 걸음으로 쉼을 느끼기를 권하고 싶다.

하지만 슬로시티 제천에서도 조금은 빠른 걸음으로 생각하며 걸어야 하는 곳들이 있다. 제천은 우리나라 항일 의병활동의 중심지이자, 천주교 박해를 피해 모인 사람들의 성지이기도 했다. 그 역사적 기록들을 만나러 발걸음을 돌렸다.

한정구 칼럼니스트 deeppocket@naver.com
Popular News
Latest Shorts
기자 PICK 글로벌 뉴스
TWIG 연예·이슈·라이프
서울 En 방송·연예